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반대말 스티그마 효과

by 2보리 2023. 9. 25.
반응형

1.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다른 사람들의 큰 기대가 개인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관찰자-기대효과(observer-expectancy effect)와 관련이 있으며, 관찰자의 기대가 대상에게 자기실현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상황을 만들고 현실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로버트 로젠탈의 실험에서는 교사에게 특정 학생들에 대한 높은 기대를 표현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면 해당 학생들이 그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성과를 향상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피그말리온 효과가 교육 분야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또한, 피그말리온 효과는 조직 내에서 리더가 팀원들에게 높은 기대와 신뢰를 보일 때 팀원들이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더 나은 성과를 이루려고 하는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리더의 기대가 부하의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자아 이행성(self-fulfilling) 현상의 한 예이며,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관찰이 개인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회심리학적 원리를 강조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나 예상이 개인의 성과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학적 현상을 나타냅니다.

 

2.피그말리온 효과의 특징

 

1)자기 이행성: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가 개인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쳐 실제로 그러한 결과를 이루게 하는 현상입니다.

 

긍정적인 기대를 받은 사람은 더 좋은 성과를 이루려고 하며, 부정적인 기대를 받은 사람은 성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무의식적 영향:

이 현상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작용합니다.

 

, 개인은 자신이나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을 모르거나 인식하지 못해도 그 기대에 부응하려고 합니다.

 

 

3)양성 피드백 강화:

피그말리온 효과는 양성적인 피드백을 받은 개인에게 더욱 강한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인 기대를 받은 사람은 자신감을 키우고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이루려고 노력합니다.

 

 

4)기대 인코딩:

이 효과는 기대가 개인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기대는 정보를 인코딩하고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인 프로세스에 관련됩니다.

 

 

 

5)긍정적인 조작:

피그말리온 효과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기대와 신뢰를 보여주면 개인들은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하고 우수한 성과를 이룰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 리더십, 운동, 업무 성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나 부모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피드백을 제공하면 학생들은 자신감을 키우고 높은 성적을 이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조직 내에서 상사가 팀원들에게 높은 기대와 신뢰를 보이면 팀원들은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하고 더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습니다.

 

 

3.피그말리온 효과의 유래

 

피그말리온 효과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에 기인합니다.

 

이 효과는 피그말리온이라는 그리스 신화의 주인공인 조각가 피그말리온(Pygmalion)에게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피그말리온 신화에 따르면, 피그말리온은 아름다운 여성상을 조각하고 그 여성상에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가 만든 여성상은 그 어떤 살아 있는 여자보다도 더 아름다웠습니다.

 

피그말리온은 이 여성상에 대한 진심으로 사랑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 후, 그리스 신화에서 여신 아프로디테(Aphrodite)가 피그말리온의 사랑에 감동하여 갈라테이아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줍니다.

 

이 신화는 갈라테이아가 현실로 존재하는 여성이 되도록 피그말리온의 간절한 원하고 기대하는 마음을 보여 주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신화에서 영감을 받아, 피그말리온 효과란 다른 사람들이 개인에게 기대하거나 예상하는 것이 그 개인의 성과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 피그말리온 효과는 기대와 예상이 실제로 그러한 결과를 이루도록 만드는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4. 피그말리온 효과  반대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란 특정한 개인 또는 그룹에 부정적인 낙인이 부여되면,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이 대상자의 행동과 정체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주변 사람들의 편견이나 부정적인 인식이 그 대상자에게 점차 더 나쁜 행동을 유발하고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

 

이 용어는 주로 범죄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스티그마는 한국어로 "낙인"을 의미합니다.

 

스티그마 효과는 1960년대에 미국 사회학자 하워드 S. 베커의 '낙인 이론'에 기반하며, 이 이론은 범죄 행위로 인해 대상자에게 붙는 낙인이 그를 사회적으로 격리시키고 결국에는 추가적인 범죄를 저지르게 만든다는 주장을 제시합니다.

 

스티그마 효과는 주변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대상자가 편견에 부응하여 부정적인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스티그마 효과와 반대로, 주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대상자는 그러한 평가에 부응하여 긍정적인 행동을 보이며, 이로 인해 결과가 더 좋아지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 반대 스티그마 효과

 

 

Pygmalion effect

 


I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other people's high expectations affect individual behavior and performance.

This is related to the observer-expectancy effect, and the observer's expectations create a self-fulfilling prophecy situation for the object and affect reality.

Robert Rosenthal's experiment showed that expressing high expectations for a particular student and providing positive feedback to the teacher showed that the students tried to meet those expectations and improved their performance.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 how the Pygmalion effect can work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ygmalion effect can also be seen when a leader within an organization shows high expectations and trust in the team members, and when the team members try to meet those expectations and achieve better results.

This means that leaders' expectations can affect their subordinates' motiv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The Pygmalion effect is an example of a self-fulfilling phenomenon, emphasizing the socio-psychological principle that other people's expectations and observations can affect individual behavior and performance.

Pygmalion effect refers to a social psychological phenomenon in which other people's expectations or expectations affect an individual's performance and behavio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