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비도2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단계,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생식기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단계 인간의 성격은 생후 첫 5~6세에 심리성적 단계를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성적 욕구인 리비도( Libido)가 신체의 어느 부위를 통하여 만족 혹은 좌절하느냐의 여부가 그의 성격형성에 결정 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Preud는 자신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방법론 상 과학적이지 못하고 일반인에게까지 일반화하기 곤란하다는 비판이 있다. 단계 연령 중심 특징 구강기 (Oral stage) 0~1세 • 습득하는 성격특징 : 믿음 / 의존성 ▷실패 : 자폐, 우울, 알코올, 지나친 흡연, 병적인 수다와 같은 모습으로 고착될 가능성이 있음 항문기 (Anal stage) 2~3세 •대소변 가리는 시기 : 통제력, 인내심, 자율성과 독립심 성취 • 지나치게.. 2023. 7. 19.
퇴행(융의 심리학-꿈) 인격의 역학의 입장에서 보면 퇴행이란 리비도의 역류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퇴행을 발달의 입장에서 논하려고 한다. 발달은 앞으로의 전진적인 방향을 취할 수도 있고 뒤로의 퇴행적인 방향을 취할 수도 있다. 전진이란 의식적인 자아가 현실의 환경을 정신 전체의 여러 욕구와 조화시키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좌절, 박탈감으로 이 조화가 깨어지면 리비도는 환경의 외향적인 가치에서 물러나 무의식의 내향적인 가치로 전향된다. 이처럼 리비도가 자기로 물러나는 것을 융은 ‘퇴행’이라고 부른다. 욕구 불만인 개인이 그 문제의 해결책을 무의식 속에서 찾아낸다면 퇴행은 적응에 유용할수 있다. 무의식은 개인적 종족적 과거의 지식과 지혜를 포함하고 있다. 조화와 통합을 달성 또는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때때로 세상의.. 202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