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조 효과(Conformity Effect)는 사회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개인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 태도 또는 의견을 모방하거나 따라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주변 사람들의 행동이나 의견에 영향을 받아 자신도 비슷한 행동이나 의견을 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조효과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이 깊으며, 사람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상호작용을 하며 조화롭게 일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사회적인 관계에서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때때로 "군중 심리"나 "집단 동질성"과 관련이 있으며, 주변의 다수와 일치하려는 욕구 또는 압력으로 개인이 특정 행동을 따르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1.동조 효과의 주요 특징
1)정보적 사회 영향:
사람들은 주변의 다수로부터 얻은 정보나 의견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이 개인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정서적 사회 영향:
동조는 때로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연결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주변의 다수와 어울릴 때 불안감을 느끼지 않으려는 욕구가 동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집단 압력:
주변의 다수가 일정한 행동이나 의견을 지지할 때, 개인은 그러한 행동이나 의견을 따르려는 압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집단 압력은 개인의 동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대중 마케팅과 사회적 영향:
동조 효과는 대중 마케팅 및 광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수의 사람들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지지할 때, 다른 개인들도 그것을 따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개별 차이:
물론, 모든 개인이 동조하는 것은 아니며, 개별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동조 압력을 무시하고 자신만의 의견과 행동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동조효과의 다양한 형태
1)정보 동조: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행동이나 의견을 기반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이 인기있는 것으로 알려지면 다른 사람들도 그 제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2)공감 동조: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감정이나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받아 비슷한 감정을 느끼거나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영화에서 주인공이 슬픈 장면에서 울면, 시청자들도 그 영화에 공감하여 슬픈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3)행동 동조: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따라합니다.
이는 사회적인 규범이나 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모임에서 사람들이 일정한 방식으로 인사하는 것을 보면, 다른 사람들도 그와 같은 방식으로 인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4)정체성 동조: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정체성이나 그룹에 속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비슷한 행동이나 의견을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회적인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그 그룹의 가치관이나 행동양식을 따를 경향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동조효과는 상황과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조효과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이 깊으며, 사람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상호작용을 하며 조화롭게 일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Conformity Effect
The Conformity Effect is a term used in social psychology tha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n individual imitates or imitates the actions, attitudes, or opinions of other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you are influenced by the actions or opinions of people around you and take similar actions or opinions.
The conformity effect is deeply related to social interaction and helps people feel belonging, interact, and work in harmony.
This is one of the factors that facilitate interaction in social relationships.
This is sometimes associated with "crowd psychology" or "group homogeneity" and explains the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s follow certain behaviors as a desire or pressure to align with the majority around them.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리미널효과(Subliminal effect) (116) | 2023.11.14 |
---|---|
메라비언의 법칙(Mehrabian's Law) (88) | 2023.11.10 |
나르시스트('나는 솔로'영숙은 나르시스트일까??) (73) | 2023.10.10 |
쿠바드 증후군(Couvade Syndrome), 증상, 예방법 (108) | 2023.10.08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반대말 스티그마 효과 (92) | 2023.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