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 마이닝 효과(Undermining Effect)는 외부 보상이나 인센티브를 받는 것이 내재적 동기나 흥미를 약화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보상이 특정 행동을 하게끔 유도할 때, 그 행동을 수행하는 동기가 내재적인 동기에서 외부 보상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외부 보상이 사라지거나 줄어들었을 때, 해당 행동을 계속 수행할 동기가 내재적으로 감소하여 행동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을 익히기 위해 보상을 제공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보상을 받으며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에 흥미와 동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상이 계속되면서 새로운 기술을 익히는 동기가 외부 보상에 의해 대체되어가고, 내재적인 흥미는 점차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보상이 중단되면 내재적인 흥미만으로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 부담스러워지거나 그만두게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학업에서의 언더 마이닝 효과를 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성적을 받기 위해 공부하는 경우, 처음에는 성적을 동기로 공부를 하지만, 이후에는 공부에 대한 내재적인 흥미나 목표보다는 성적에 대한 외부 보상에 의해 동기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성적을 받는 것이 더 이상 보상으로 인식되지 않을 때, 학습에 대한 동기가 약화되거나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내재적 동기와 흥미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재적인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은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보상보다는 자기계발, 성취감, 흥미로운 경험 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언더 마이닝 효과를 줄이기 위해서는 내재적인 동기와 흥미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법을 채택해야 합니다.
여기에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1.자율성 강조:
개인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자율성은 내재적 동기를 유지하고 흥미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업무나 학습 과제를 수행할 때 개인의 선택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촉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목표 설정과 피드백 제공: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인의 성취감을 높입니다.
성취감은 내재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목표를 달성했을 때 얻는 성취감은 보상보다도 더 큰 동기부여 요인입니다.
3.자기 효능감 강화:
개인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개인은 도전적인 과제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행동하게 됩니다.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주는 것이 자기 효능감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의미 있는 연결성 제공:
활동과 개인의 가치관, 목표, 관심사 등을 연결시켜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활동이 개인의 관심과 가치와 일치할 때 내재적 동기와 흥미가 높아지며, 그 결과 언더 마이닝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5.참여와 협력 강화:
개인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촉진합니다.
집단 활동이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개인은 다른 사람과 함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며 보상보다는 공동체적인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6.자기주도적 학습과 개방적 문제 해결:
개인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은 내재적 동기와 흥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환경을 조성하면 언더 마이닝 효과를 줄이고 내재적 동기와 흥미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틴저 효과 (139) | 2024.05.15 |
---|---|
루시퍼효과 (150) | 2024.05.03 |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 (163) | 2024.04.03 |
게인로스 효과(Gain-loss effect) (167) | 2024.03.17 |
피크엔드 법칙 (181) | 2024.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