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스탠퍼드 감옥 실험과 인간의 행동
-밀그램 실험과 유사한 짐바르도의 실험
1971년, 스탠퍼드대학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가 진행한 실험은 밀그램의 실험과 비슷한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실험은 인간의 행동이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2.실험 과정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부 건물 지하에 가짜 감옥을 만들고 지역신문을 통해 실험 지원자를 모집했습니다.
지원자 중에서 가장 정상적인 사람 21명을 선발하여 실험에 참여하게 했습니다.
실험은 간수 역할과 죄수 역할로 나누어졌습니다.
간수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잔인하고 가학적인 행동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실험은 원래 2주간 계획되었으나, 6일만에 중단되었습니다.
실험의 과도한 학대로 인해 연구자들이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3.결과와 결론
실험에서는 간수 역할을 맡은 사람들도 잔인한 행동을 보이며 죄수들을 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역할 수행과 자아를 분명히 구분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이 인간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4.짐바르도의 인식
짐바르도는 실험 결과에 대해 깊은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실험 도중에 자신도 이성을 상실한 상태였고, 연구자들이 실험을 중단하는 데 기여한 크리스티나 매슬랙의 개입이 있었습니다.
짐바르도는 실험 결과를 통해 상황이 인간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5.결론
상황주의는 인간의 행동이 상황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이론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인간 행동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적절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리퍼 효과(Sleeper Effect) (200) | 2024.07.01 |
---|---|
스틴저 효과 (139) | 2024.05.15 |
언더 마이닝 효과(Undermining Effect) (201) | 2024.04.22 |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 (163) | 2024.04.03 |
게인로스 효과(Gain-loss effect) (167) | 2024.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