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1

집단 무의식, 태고유형 집단 무의식은 의식의 중심으로서의 자아 및 억압된 정신내용의 저장고로서의 개인 무의식처럼 진화와 유전이 신체의 청사진을 제공하는 것처럼 정신의 청사진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은 융의 심리학 역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생활 경험에 대한 당사자의 반응 방법뿐만 아니라 그가 갖게 될 경험 형태까지도 진화에 의해 미리 형성되어 있다며 정신을 진화의 과정속에서 규정한 것이다. 집단 무의식의 특징과 내용을 알아보자. 개인 무의식은 일단 의식적이었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집단 무의식의 내용은 개인의 생애 속에서 한 번도 의식적이었던 일이 없다. 집단 무의식은 융이 일반적으로 ‘원시적 이미지’라고 부르고 있는 잠재적 이미지의 저장고다. ‘원시적’이란 ‘최초의’또는 ‘본래의’라는 의미다. 따라서 원시적 이미지.. 2023. 5. 13.
융 심리학의 이해 <개인무의식> 3. 개인 무의식 자아에 의해 인정되지 않은 경험은 어떻게 될까? 그것들은 정신에서 소명되지 않는다. 경험된 것이 소멸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자아에 의해 인정되지 않은 경험은 융이 ‘개인 무의식’이라고 부르는 곳에 저장된다. 정신의 이 수준은 자아에 인접해 있다. 개인 무의식은 의식적인 개성화나 기능과 조화되지 않은 모든 정신적 활동과 내용을 받아들이는 저장소다. 또는 괴로운 생각, 미해결된 문제, 개인적인 갈등, 도덕적인 문제 등과 같이 일단은 의식적 경험이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억압되어 방치된 것도 있다. 경험할 당시에는 관계가 없었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에 잊혀진 것도 많다. 너무 약하기 때문에 의식에 도달할 수 없거나 또는 의식에 머물 수 없는 경험은 모두 개인 무의식에 저장된다.. 2023. 5. 12.
융 심리학의 이해 <인격의 구조-정신, 의식> 인격의 구조 사람의 인격에 관한 완전한 이론은 세 가지 문제에 대해 대답해야 한다. 인격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는 어떠한 것일까? 그리고 그 요소들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또한 외부와는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인격을 활동시키는 에너지의 근원은 대체 무엇이며 그 에너지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나누어질까? 개인의 인격은 어떻게 생기며 어떻게 변화할까? 이 세가지 문제는 각각 구조적, 역학져, 발달적 문제라고 부를 수 있다. 융 심리학은 이 문제들 전부에 대답하고자 애쓰고 있으므로 포괄적으로 인격의 이론이라고 볼수 있다. 1.정신 융의 심리학에서는 인격 전체는 ‘정신’이라고 불린다. 프시케라는 라틴어는 본래 ‘영혼’을 뜻했지만 근래에서는 마음의 과학을 ‘심리학’이라고 말하듯이 .. 2023. 5. 11.
칼 구스타프 융은 어떤 사람이었는가2 칼 구스타프 융은 어떤 부류의 사람이었는가? 신체적으로 면을 말하면 그는 키가 크고 어깨가 넓으며 강건했습니다. 등산가이고 능숙한 조타수였습니다. 칼 구스타프 융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가 되자, 자연과학의 구체적인 지식에 마음에 끌렸으나 비교종교학이나 철학도 버리기 아까웠습니다. 어느 숙부가 신학을 공부하라고 강력히 권유했으나 이에 대해서는 아버지가 반대하여 칼 구스타프 융은 단념했습니다. 융은 자연과학을 택하기도 했고 의학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융이 그 이름을 물려받은 조부는 옛날 바젤대학의 의학교수였었습니다. 융의 흥미가 심리학과 정신병리학으로 옮겨져서 정신의학 연구야말로 자기가 나아갈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00년 12월 융은 취리히의 부르크횔츠리 정신병원의 조수로 첫 직장을 ..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