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면서 여러가지 일과 상황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들에게 우리가 타인과 사회적 사건의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할 때에 좀더 타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우리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제부터 사회적 심리학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눠보며 알아가보록 하겠습니다.
1. 사회 심리학의 정의
사회 장면에서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연국하는 학문으로 사회 장면속에서의 개체의 반응(사회행동)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통상 사회학에서 사회심리학은 분석단위가 집단입니다. 현재 사회장면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중시합니다. 따라서 사회행동의 원인을 현재의 상황에 작용하고 있는 요인들에게서 찾고자 합니다. 개체의 현상적 세계를 강조하고 사회자극이 개인에게 무엇으로 지각/해석되느냐를 더 중요시합니다.
2. 사물지각과 대인지각
타인에 대한 이해가 이뤄지는 것이 대인지각의 문제인데 이런 타인이라는 사회적 자극에 대한 지각의 문제는 물리적 자극에 대한 사물지각 문제와는 다르게 평가됩니다.
1)사물지각
-사회적 자극에 대한 주관심: 보이는 형태로서 무생물로 지각, 즉 겉으로 드러난 자극의 물리적 속성의 지각입니다.
-지각자와 지각대상 : 지각자는 사람이지만 지각대상은 사물입니다
-상호성 여부: 지각자가 사물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평가하고 수용합니다.
2)대인지각
-사회적 자극에 대한 주관심 : 외모 등 물리적 속성과 함께 성격의도나 동기등 내적 특성를 갖고 있는 원인행위자로 자각, 즉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타인의 내적 특성을 지각합니다.
-지각자와 지각대상 : 지각자와 대상자 모두 사람입니다.
-상호성 여부: 지각자와 지각대상의 관계가 사호작용적이어서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3. 닷튼과 아론의 흔들다리 실험
피험자인 남성에게 협곡 위 75m에 설치된 흔들다리를 건너게 한 후 예쁜 여학생이 인터뷰를 합니다. 인터뷰 후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자기에게 전화를 달라고 전화번호를 줍니다. 그러면 남성실험자가 피험자에게 전화번호를 주는 것 보다 4~5배 이상 많은 전화가 걸려온다는 결과입니다. 비교를 위해 지상 3m 위의 튼튼한 다리를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해보면 인터뷰한 사람이 예쁜 여학생이라도 전화한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요약하자면 75m의 높이의 협곡에 있는 흔들다리를 건너 왔을 때에는 떨리는 등의 생리적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것을 피험자는 '자신이 이 여성에 대해 이렇게 설레고 있다'라고 잘못된 이유를 갖다 붙이게 됩니다. 이것을 '귀인오류'라고 합니다.
그런데 흥분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연애감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신체적 매력도 필요합니다. 또 신체의 생리적인 반응을 느끼고 이에 대한 해석으로서 감정이 성립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생리적으로 흥분할 수 있는 방법은 아주 많습니다. 두사람이 함께 조깅하기, 높은 산을 함께 오르기, 테니스를 함께 치기, 놀이동산의 롤러코스터를 함께 타기, 단 둘이서 배를 타기 등이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인지, 도식의 개념, 도식의 종류, 도식처리의 장단점 (0) | 2023.06.17 |
---|---|
인상형성이론(게슈탈트이론 : 형태주의적 접근) (3) | 2023.06.15 |
융의 성격심리학과 MBTI와의 관계 (1) | 2023.06.10 |
투사 (0) | 2023.06.08 |
꿈 해석의 여러 가지 형태 (3)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