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86 꿈의 해석과 꿈의 의미에 따른 분류 꿈의 세계는 의식과 무의식의 두 요소로 되어 있다. 이들 요소는 다양하게 혼합되는 데 과거 경험의 가장 깊이 있는 무의식의 모든 근원들에서부터 연유한 것인지도 모른다. 융에 의하면 그 꿈 속의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인과관계나 공간적, 시간적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꿈의 용어는 상징적이며 고대형의 논리 이전의 언어로서 심상의 언어이다. 따라서 그 언어의 의미는 어떤 특수한 방법에 의해서만 밝혀 낼 수 있는 것이다. 융은 꿈을 대단히 중요시하였다. 꿈을 무의식으로 통하는 길로 보았을 뿐만아니라 무의식이 그것을 통해 조정활동을 행하는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꿈은 의식적 태도의 표면, 즉 무의식의 한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융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만약 꿈에서의 행동을 어떤 공.. 2023. 6. 6. 융의 콤플렉스론: 진정한 나를 찾아서 소개 융의 콤플렉스론은 인간의 심리와 자아에 대한 이론으로, 개인이 경험과 사회적 영향으로 형성된 복잡한 심리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심리학자 Carl Jung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인간의 자아와 그림자, 아르키타입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습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융의 콤플렉스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융의 콤플렉스론의 기본 개념 융의 콤플렉스론은 개인이 경험과 사회적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심리 구조를 설명합니다. 융은 인간의 심리를 주요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르키타입과 콤플렉스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아르키타입은 무의식적으로 공유되는 모델이며, 콤플렉스는 특정한 주제나 아르키타입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나타냅니다. 콤.. 2023. 6. 4. 정서적 발달의 비밀: 분석심리학적 관점 "정서적 발달의 비밀: 분석심리학적 관점"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앞서 이야기한 칼 구스타프 융의 삶을 통해 정서적 발달과 자기탐색의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정서적인 자아의 성장과 내면의 평화를 이루는데 분석심리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아동기를 보면, 융은 어려운 가정 환경에서 자라면서 슬픔과 내성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은 그를 더 강인하게 만들어주었고, 정서적인 갈등에 대한 이해와 고민을 자극했습니다. 이러한 아동기의 경험들이 융의 정서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지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청년기에서는 융이 종교와 철학에 대한 갈등을 겪었지만, 그의 자기탐색은 다른 분야의 책과 철학적인 접근을 통해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2023. 6. 3. 외향적 직관 타입/ 내향적 직관 타입 1. 외향적 직관 타입 외향적 직관 타입에 속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여성이며 엉뚱함과 불안정이 특징입니다. 그는 외계에서 새로운 가능성를 발견하기 위해 이곳저것을 돌아다닙니다. 낡은 세계를 미처 정복하기도 전에 새로운 세계를 추구합니다. 사고 기능에 결함이 있으므로 자기의 직관을 오랫 동안 끈기있게 추구하지 못하고 새로운 직관에 매달립니다. 그는 새로운 기업이나 대의의 추진자로서 남달리 힘을 기울이기를 사양치 않을 지 모르지만 거기에 오래 흥미를 갖지 못합니다. 평범한 일에는 싫증을 느낍니다. 기발한 일이 그의 생명의 양식이다. 그는 잇따라 일어나는직관에 생명을 허비합니다. 호기심을 갖고 열광적으로 새로운 일에 뛰어 들지만 믿을 만한 친구는 못 됩니다. 그의 관심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는 본의.. 2023. 6. 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