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86 호손 효과(Hawthorne Effect): 관찰이 행동을 바꾼다 호손 효과는 피실험자가 자신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행동이 변화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1. 호손 실험의 배경 호손 실험은 1924년부터 1932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호손 웍스 공장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실험의 목적은 작업 환경의 변화, 특히 조명의 변화가 근로자들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2. 의외의 결과: 빛의 영향 빛의 강도가 증가하면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은 예상과 부합했습니다. 그러나 빛의 강도를 다시 낮추면서도 생산성이 여전히 높게 유지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이것이 호손 효과의 첫 관찰이었습니다. 3. 호손 효과의 해석 연구자들은 빛의 강도 자체보다 근로자들이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 2024. 1. 22. 자기실현적 예언(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믿음이 현실을 만들어가는 힘 자기실현적 예언은 사회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개인이 어떤 상황에 대한 기대나 믿음을 가질 때, 그 기대나 믿음이 실제로 그 상황을 형성하거나 영향을 미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주로 사람들이 자신의 믿음에 따라 행동하고, 그 행동이 결과를 유도해내는 과정에서 나타납니다. 1928년, 윌리엄 아이작 토마스는 "토마스 정리"를 통해 이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그는 "상황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이 그 상황이 일어난 것으로 믿으면 그들은 그것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이는 사람들의 믿음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는 그 상황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원리를 설명합니다. 로버트 머튼은 이러한 개념을 발전시켜 "자기실현적 예언"이라는 용.. 2024. 1. 14.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소비 심리의 다층적 이해 밴드왜건 효과는 소비자들이 다수의 선택에 따라 움직이려는 특이한 심리 현상을 설명하는 흥미로운 개념으로, 정치적인 맥락에서의 선거 운동과 경제적인 소비 행태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이론으로 간주됩니다. 1.다수의 선호에 따른 소비 행태 밴드왜건 효과는 다수의 선택이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합니다. 선거 운동에서 후보가 우세하다고 여겨지면, 소비자들은 대세에 편승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끼게 됩니다. 이는 마치 축제의 선두에서 행진하는 밴드에 참여하려는 욕망과 유사합니다. 소비자들은 다수의 흐름에 합류함으로써 일종의 사회적 수용을 느끼고, 그 선택이 '일반적'이라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2.소비자의 선택과 사회적 영향력 소비자들은 종종 다른 이들의 트렌드나 선택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어떤 제품.. 2024. 1. 10. 앵커링 효과( Anchoring effect ) 앵커링 효과는 사람들이 처음에 제시된 정보나 가치에 영향을 받아 그것을 기준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 등의 연구자들에 의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앵커링 효과는 일상 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협상이나 결정 만들기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협상 상황에서 먼저 가격을 제시한 측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앵커링 효과의 한 예입니다. 이때 처음에 제시된 가격은 협상의 기준이 되어 상대방이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협상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처음에 제시된 가격이 마치 닻(anchor)처럼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죠. "앵커링(Anchoring)"은 심리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사용되는 .. 2024. 1. 8. 이전 1 2 3 4 5 6 7 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