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86

언더 마이닝 효과(Undermining Effect) 언더 마이닝 효과(Undermining Effect)는 외부 보상이나 인센티브를 받는 것이 내재적 동기나 흥미를 약화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보상이 특정 행동을 하게끔 유도할 때, 그 행동을 수행하는 동기가 내재적인 동기에서 외부 보상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외부 보상이 사라지거나 줄어들었을 때, 해당 행동을 계속 수행할 동기가 내재적으로 감소하여 행동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을 익히기 위해 보상을 제공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보상을 받으며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에 흥미와 동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상이 계속되면서 새로운 기술을 익히는 동기가 외부 보상에 의해 대체되어가고, 내재적인 흥미는 점차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보상이.. 2024. 4. 22.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은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는 심리적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 용어는 1973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일어난 사건을 토대로 명명되었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납치 및 감금: 피해자가 가해자에 의해 납치되거나 감금될 때, 피해자는 생존을 위해 가해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피해자는 가해자를 배신하거나 신고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비정상적인 권력 도입: 가해자가 피해자의 삶을 통제하고, 권력을 행사할 때 피해자는 보호자 또는 주인과 같은 역할로 가해자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3.감정적 연결 형성: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인간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2024. 4. 3.
게인로스 효과(Gain-loss effect) 게인 로스 효과(Gain-loss effect)는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론적으로, 게인 효과는 처음에 냉정하게 대하는 사람이 이후에 상냥하게 대할 때 상대방이 더 호감을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와 반대로, 로스 효과는 처음에는 상냥하게 대하는 사람이 이후에 냉정하게 대할 때 상대방이 더 싫어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게인 효과는 어떤 사람이 처음에는 차가운 태도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정하게 변할 때 발생합니다. 이 때, 상대방은 그 변화를 감동적으로 받아들이고 더 호감을 느낍니다. 반면에 로스 효과는 처음에는 다정한 태도를 보이지만 나중에는 차가운 태도로 변할 때 발생합니다. 이 때, 상대방은 실망하고 더욱 불쾌해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 상호작용.. 2024. 3. 17.
피크엔드 법칙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순간들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특별히 강렬하거나 인상적인 순간들은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러한 순간들이 우리가 전체 경험을 평가하고 기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피크엔드 법칙에서 명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놀이공원을 방문했을 때를 생각해보죠.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타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면서 순간마다 다양한 감정을 느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특별한 놀이기구를 탔을 때의 피크 경험이거나, 가족과 함께 하루를 마무리할 때의 마지막 순간일 것입니다. 이러한 순간들은 우리의 경험을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놀이기구를 타고 나는 흥분과 즐거움으로 인해 피크를 경험할 것이며, 이는 그날의 전체적인 경.. 2024.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