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교과정
1. 사회적 침투 단계 : 친교관계가 깊어지는 과정
1)지향단계 : 피상적으로 자기소개를 하는 단계, 긍정적으로 자기를 제시하려고 하며 상대방에 대한 비판은 회피하게 되는 단계이다.
2)탐색적 감정교환단계 : 좀 친해져서 감정적인 교환도 있고 서로간의 말의 교환도 풍부하지만 아직 성격의 주변에만 맴도는 단계, 이때 서로간의 관계는 아직 공식적으로 정해진 틀 속에서 이뤄진다.
3)감정교환단계 : 서로 상대방 성격의 심층에 거의 접근하여 칭찬과 비판을 자유자재로 하는 단계이나 내면 깊숙한 중심에는 아직 장벽이 있어 서로 깊은 속마음을 텅어놓지 못하는 단계이다.
4)안정적 교환단계 : 서로 속마음도 털어놓고 서로의 소유물에 마음 놓고 접근하는 단계, 나와 너가 아닌 우리로서 행동한다.
2. 사회적 침투의 결정 요인
서로 상대방에 대해 자기를 솔직히 열러 보이는 자기개방성에 의해 촉진되며 사회적 침투과정이 점차 진행될수록 자기개방의 폭과 깊이가 증가되지만 너무 빨리 강하게 자기개방을 할 경우 상대방이 불안을 느껴 대인장벽을 구축해 역효과를 초래한다. 상호성 규범에 따라 상호 비슷한 수준만큼 자기개방을 할 때 사회적 침투과정이 원만히 진행된다.
3.체이킨과 데이레거의 상호작용적 자기노출 실험
우리 주변에 보면 고민있는 친구들의 말을 도맡아 잘 들어주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의외롤 그 사람에게는 절친한 친구가 없고 그 사람에게 고민거리를 말하던 친구들도 자기들끼리만 어울린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상호작용적인 자기노출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호성은 두 사람의 관계를 더 밀접한 관계로 발전시키는 밑바탕이 된다. 한 사람이 일방적으로 이끌고 다른 사람은 일방적으로 이끌리는 관계에서는 호감이 낮다. 따라서 자기노출은 상호작용적일 때 효과적이다.
1)체인키과 데이레거의 상호작아요적 자기 노출 실험
①내용: 4가지 조건에서 여자배우들의 대화를 듣고 각 조건별로 대화자에 대해 얼마나 호감을 가지는지를 평가하는 호감도 평가
②결과 해석 :
-높은 수준의 자기노출(쌍방향) : 호감도 고
-낮은 수준의 자기노출(쌍방향) : 호감도 고
-한 쪽은 높은 수준, 한 쪽은 낮은 수준의 자기노출 : 호감도 저
2)자기노출 효과에 관한 캐플란의 실험
①내용: 3가지 면접상황에서 면접평가자의 질문에 따른 면접평가자의 호감도 평가
②결과 해석 :
-높은 공식집단(매우 친밀한 질문) : 호감도 3위
-중간 공식집단(친밀한 질문) : 호감도 1위
-늦은 공식집단(친밀하지 않은 질문) : 호감도 1위
자기노출과 인간관계의핵심은 자기노출, 상호성, 동일한 개방수준, 속도 및 여유이다. 여기서 자기노출은 속도와 타이밍이 중요하다. 즉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자기 이야기를 속속들이 다 털어놓고 고민까지 상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자신을 그러내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마음을 열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사람을 좋아하지만 푼수처럼 자기노출을 하는 사람보다는 상황과 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자기노출을 하는 사람을 더 좋아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행동, 공격행동의 유발요인, 공격행동의 학습기제,공격행동의 학습내용,공격행동 표출의 효과 (0) | 2023.06.26 |
---|---|
도움행동, 상황적 요인, 제공자의 입자, 수혜자의 입장 (0) | 2023.06.25 |
친교행동/친교대상자의 조건/유사성 효과/보상효과/단순노출효과/균형이론/실수효과실험/대비효과실험/발산효과실험 (1) | 2023.06.22 |
귀인, 귀인의 방향과 안정성, 귀인 원리,귀인편향, 귀인의 오류 (0) | 2023.06.19 |
사회인지, 도식의 개념, 도식의 종류, 도식처리의 장단점 (0) | 2023.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