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교행동(linking behavior)
주변에 좋아하는 사람과는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 하고 싫어하는 사람과는 관계를 끊고 형성하지 않으려 하는데 이렇게 관계를 형성하게끔 하는 요인들과 인간의 사회행동에 대해 연구하는 사회심리학 분야가 친교행동이다.
1. 친교대상자의 조건
자주 만나는 사람과 미운 정이나 고운 정이 들어 가까워지고(근접성과 친숙성의 효과) 따스하고 이해심 많은 다정다감한 성격이나 정직하고 성실하며 유능한 것처럼 좋은 특성을 지닌 사람(성격특성, 능력, 신체적 매력 등), 태도, 기호,가치관 등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유사성효과), 자신에게 보상을 주거나 이익이 되는 사람, 내 친구가 좋아하는 사람 등이 친교대상으로 조건을 갖추고 있다.
1)신체적 매력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신체적 매력이 높을수록 호감을 갖게 되며 인상형성의 후광효과로 인해 신체적 매력이 높을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많이 갖고 있으리라고 기대하게 된다. 그러나 결혼배우자를 찾는 경우 자신과 유사한 수준의 용모를 지닌 사람을 선택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는데 그 이유는 자신보다 용모가 뛰어나 경우 자신이 거절당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현실적 수준의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2)유사성 효과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자신에 대해 일종의 타당성을 부여해주기 때문이다. 즉 상대방이 나와 유사한 생각을 갖고 있다면 내 생각이 옳다고 확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오히려 서로 다른 점이 보이는 사람에게 더 매력을 느끼기도 하며 사주팔자에서 말하는 겉궁합이나 속궁합의 개념을 보면 궁합을 해석하는데 있어 겉궁합은 유사성원리로 해석하고, 동시에 속궁합은 상보성원리로 해석하기도 한다.
3)보상효과
먼저 상호성의 원리에 의하면 상대방과 주고받음에 있어 균형을 이룰 때 관계가 오래 지속되고 호감이 증가한다고 볼 때 일방적인 사랑을 주는 짝사랑은 실패할 수 밖에 없는 것이나 또는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싫어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득실현상이론에 의하면 계속해서 자신을 칭찬해주는 사람보다 처음에는 비판하다가 나중에 자신을 칭찬해주는 사람을 더 좋아하고, 반대로 계속해서 자기를 비판하는 사람보다 칭찬하다가 나중에 가서 비판하는 사람을 더 싫어하게 되는 현상도 이에 해당한다.
4)단순노출효과
한자를 모르는 미국인을 상대로 한자들중에서 하나의 한자을 더 자주 보여주고 어느 한자가 좋은 뜻을 의미하는지 물은 결과 피험자들은 여러 번 봤던 한자를 선택했다. 이러한 단순노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ss 등은 모차르트와 쇤베르크의 음악을 여러 번 들려주었더니 사람들은 자신들이 자주 들었던 음악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와 상관없이 노출의 반복만으로도 선호가 생겨남을 알 수 있다. Zajonc는 처음 접하는 사진을 각 대학생집단에 따라 다른 횟수로 보여주고 그에 대한 매력도나 호감도를 평정하게 한 실험을 통해 접촉회수가 증가할수록 상대를 더욱 좋아하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5)Heider의 균형이론
사람들은 자기 주변 사람들 사이의 감정과 인지내용에 균형을 취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두 사람 사이의 호감정도가 깊을수록 더 심화된 현상이 나타난다. 즉 내 친구나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좋듯이 좋아하는 사람이 좋다고 평가하는 사람에 대해 좋은 태도를 형성한다.
6)Aronson의 실수효과실험
능력있는 사람이 실수한 경우 가장 매력도가 높았고 다음은 능력이 있고 실수를 하지 않는 사람이었으며, 능력이 없는 사람이 실수를 하지 않는 경우의 순이었고 가장 매력없는사람은 능력도 없는 사람이 실수를 한 경우였다.
7)켄릭과 구티엘의 대비효과실험
한 대학 기숙사의 남학생들에게 각기 다른 두 종류의 tv프로그램을 보여 주었다. 남학생들 중 절반에게는 미녀삼총사를 보여 주었고 나머지 학생들에게는 평범한 사람들이 나오는 다큐멘터리를 보여 주었다. 그런 다음 연구자들은 학생들에게 낯선 여자의 사진을 보여주고 그 여자의 외모를 평가해보라고 했다. 실험결과 미녀삼총사를 본 학생들이 다큐멘터리를 본 학생들보다 사진의 여자를 매력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미녀 삼총사에 나오는 여배우의 대비효과 때문에 사진의 여자가 덜 매력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8)커니스와 휠러의 발산효과실험
피험자들에게 보통의 매력을 지닌 사람과 평균 이상의 매력을 지닌 두 사람을 보여주었다. 집단 A에게는 두 사람이 친구 사이라고 알려주고 집단 B에게는 두 사람이 모르는 사이라고 알려 주었다. 그리고 각각의 집단에게 보통의 사람을 평가하게 하였다. 마찬가지로 보통의 매력을 지닌 사람과 평균이하의 매력을 지닌 두 사람을 보여주고 각각의 집단에게 보통의 사람을 평가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먼저 친구 사이라고알려 주었을 때는 발산효과가 나타났고, 모르는 사이라고 알려 주었을 때는 대비효과가 나타났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움행동, 상황적 요인, 제공자의 입자, 수혜자의 입장 (0) | 2023.06.25 |
---|---|
친교과정, 사회적 침투 단계 : 친교관계가 깊어지는 과정,사회적 침투의 결정 요인, 체이킨과 데이레거의 상호작용적 자기노출 실험 (0) | 2023.06.22 |
귀인, 귀인의 방향과 안정성, 귀인 원리,귀인편향, 귀인의 오류 (0) | 2023.06.19 |
사회인지, 도식의 개념, 도식의 종류, 도식처리의 장단점 (0) | 2023.06.17 |
인상형성이론(게슈탈트이론 : 형태주의적 접근) (3) | 2023.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