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과 사회성발달
1. 애착의 중요성
과거에는 애착이 수유나 음식물로서, 즉 잘먹이고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아기에 대한 애착이라는 1차적인 요소만 생각했었다.
그러나 Shaffer(1999)가 지적했듯이 애착은 '근접성을 유지하려는 욕구와 상호간의 애정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두 사람 사이의 강한 정 서적 관계'이다.
즉 어린 아동에게는 자신들의 물리적 필요뿐 아니라, 정서적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한 두 명의 성인과의 의존적인 관계형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사실을 과학적으로 밝힌 H. Harlow는 어린 원숭이 실험을 통해 신체접촉의 중요성을 발견(접촉위안)하였다
한편 어린 유아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이나 민감성과 안전한 애착의 정도와의 사이에 유의미 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발견(Sroufe & Fleeson, 1986 ; Isabella & others, 1989) 되었고,
유아를 친숙하지 않는 상황에 두고 미리 계획된 방식으로 엄마나 다른 친숙한 보호자가 같이 있거나 없거나 하면서 낯선 사람이 들어왔을 때와 나갔을 때, 유아가 보이는 불안 행동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 안정 애착된 아동은 낯선 상황에서도 엄마가 같이 있을 때 활발하게 놀았으며, 적극적으로 탐색하였으나, 엄마가 없거나 낮선 사람이 같이 있을 때 약간 놀라면서 탐색이 줄어 들었다.
다시 엄마가 돌아오면 적극적으로 엄마에게 접근하여 접촉을 시도하였다.
반면에 불안정애착된 아동은 엄마가 같이 있더라도 낯선 상황에서 더 놀라고,
엄마가 돌아왔을 때 적극적으로 접촉시도를 하지 않고 심지어 거부반응을 보였다.
2. M. Ainsworth의 낯선 상황검사를 통한 애착유형
1)안정애착
▷아기의 반응
• 엄마가 있을 때 두려움 없이 낯선 상황 탐색, 낯선 장난감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며, 엄마가 잠시 떠나도 큰 격리불안이 없음
• 낯선 상황에서도 엄마와 유쾌히 얘기함
• 엄마와의 신체적 접촉과 상호작용의 양이 많음
▷엄마의 반응
• 아기 요구에 민감히 반응
• 혼자(스스로) 노는 것을 충분히 허용
2)불안정 회피애착
▷아기의 반응
• 엄마가 떠나도 별 동요 없고 얼마가 들어와도 다가가지 않고 무시
• 엄마를 쳐다보거나 말 거는 일이 극히 적고, 엄마와 상호작용도 제한적이고 극단적임, 엄마와 가능한 한 떨어져 장난감을 갖고 놀음
▷엄마의 반응
• 아기 요구에 무감각
• 아기와 신체접촉이 거의 없음
• 화가 나 있거나 초조하며, 아이를 거부하듯 다룸
3)불안정 저항애착
▷아기의 반응
• 엄마의 접촉시도에 저항
• 엄마가 있어도 잘 울고 보챔
• 엄마 떠나면 극심한 불안함 나타냄
• 엄마가 돌아오면 화내지만, 엄마 곁에 있으려고만 함
• 엄마와의 접촉에 관심 없거나 다가서서 안겼다가 이내 화낸 듯 밀쳐내는 양극적 반응
• 행동, 음성에서 엄마에 대한 친근함
• 의존욕구 를 과장하는 경향 나타남
• 엄마 무릎을 베고 눕지만 몸은 불편하게 움츠림(신체접촉욕구와 저항이 양극적으로 존재)
• 때로는 미묘하게 적개심을 드러냄
▷엄마의 반응
• 아기 요구에 무감각
• 아기 다루는 방식어색
• 화가 나 있거나 아기를 거부하는 느낌은 없음
4)불안정 혼돈애착
▷아기의 반응
• 회피와 저항이 복합된 반응
• 엄마 돌아오면 처음에 다가가 안겼다가 이내 화난 듯 밀어내거나 떠나는 양극적 반응
• 엄마와의 접촉욕구는 강하나 무시, 구박받은 공포가 함께 공존하기 때문으로 해석됨
• 자신이 부모역할을 하려는 행동 보임
•부모를 당황하게 만드는 등 처벌적인 행동, 부모와의 재회에 과도히 반가움을 보이거나 부모를 위안하는 것과 같이 과도히 명랑, 보호적인 행동을 통해 부모를 통제하려는 시도를 보임
3. 각인(Imprinting)
동물의 생후 초기의 한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학습형태로서 그들이 접촉하는 처음 움직이 는 대상(대부분의 경우 엄마가 됨)에 대한 어떠한 강한 유대의 빠른 형성을 말한다.
생물학자인 Konrad Lorenz(1935)는 갓 태어난 거위새끼들이 각인한 자신을 따라다니는 것을 보고 거위새끼들이 첫 번째 접촉하는 움직이는 대상에 매우 강한 유대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4. 애착(Attachment)
유아가 그들의 주 보호자와 형성하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정서적 또는 사회적 유대(J. Bowlby)를 애착이라고 한다.
5. Harry Harlow의 애착행동 실험
1)실험 :
새끼원숭이들을 어미로부터 떼어내어 각기 다른 우리에 한 마리씩 넣고 길렀다. 각 어린 원숭이에게는 철사로 만들어져 있으나 젖꼭지가 있는 인형(먹이보상)과 두터운 담요로 만들어져 있으나 젖꼭지가 없는 대리엄마(접촉 위안)를 인형으로 만들어주었다.
이 실험의 목적은 어린 원숭이가 대리엄마에게 애착이 된다면 둘 중 어느 특성에 더 효과적일 것인가를 살피는 것인데, 그 결과 모든 새끼원숭이들은 젖꼭지를 가지고 있는 인형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담요로 된 인형에 매달려 있었다.
특히 낯선 물체가 나타났을 때 더욱 담요인형으로 매달렸고, 담요인형과 같이 있을 때는 좀 더 용감하게 익숙하지 않은 장소를 더 잘 탐색했다. 어린 원숭이가 어미에게서 형성하는 애착에 더 중요한 변수는 먹이가 아닌 접촉위안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2)평가 :
인간이 원숭이와 동일한 애착과정을 갖는다는 견해에 대한 비판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애착과정은 훨씬 더 천천히 진행되며, 원숭이에게 있어서 생후 며칠은 인간에게 있어서 생후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고 약 70%의 유아만이 1세 경에 안정적으로 성인과 애착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즉 양육자에게 분명한 애착을 보이는 것은 대략 7, 8개월 경부터 시작되고 애착행동의 출현은 유아가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것이다.
또한 새끼원숭이에게 그와 같은 실험을 한다는 것에 대한 윤리적 차원의 비판이 있다. 반면에 이 실험은 자신의 자녀를 가질 수 없는 양육자가 효능적인 부모가 될 수 있다는 낙관을 가져다 주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의 구조/사고의 과정/마음의 구조/ Id(원초아)/Ego(자아)/Super Ego(초자아) (21) | 2023.07.31 |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단계,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생식기 (35) | 2023.07.19 |
피아제의 인지발달, 도식,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132) | 2023.07.15 |
지각발달, 신생아의 주요반사, 모로, 바빈스키, 형태재인, 격차원인, 높이지각에서의 운동경험의 역할 (24) | 2023.07.15 |
욕구위계이론, Maslow의 욕구이론, Alderfer의 욕구이론, wiliam Glasser의 욕구이론 (121)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