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이론
개인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중요한 건 타인이다. '자기'는 '관계적 자기'이다.
따라서 인간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Freud는 자기 내면의 욕구 갈등 방식을 중요시한 반면에, 대상관계이론은 자기가 어떤 관계를 이루는지에 초점을 둔다.
양자는 초기의 인간 경험이 중요하다고 본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프로이드는 본능적 욕구를 강조하고, 대상관계이론은 신뢰에 따른 경험을 중요시 여긴다(ex. 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대상인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세상과의 관계를 습득한다고 함)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Good vs Bad(좋음 대 나쁨)
양극 차원의 분리로 양극을 형성(bipolar representations)하고, 이 구분이 처음에는 모호한데, 어머니와 부대끼며 좋고 나쁨을 알아 가며, 이것이 성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사랑, 쾌 vs 미움, 불쾌
인간관계에 있어서 핵심 갈등이다. 자기가 사랑받고 있을 때 세상을 사랑하게 된다. 따라서 어머니의 사랑이 중요하다.
하인츠 코헛Heinz Kohut는 인간의 문제는 자신에게 감정이입(empathic mirroring)을 해주는 사람이 없 기 때문에 발생하므로 '밀착'이 중요하다고 했다.
외디푸스 콤플렉스 시기는 성적 문제가 아 니라 밀착 문제이다.
즉 이성부모는 비공감적이며 동성부모는 경쟁적일 때 아이는 문제가 생긴다.
불안 이유에 대하여 Freud는 성적으로 해석했지만, 하인츠 코헛(Heina Kohut)는 내가 좋아하는 사람으로부터 인간적 공감을 얻지 못해서라고 보았다.
내게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사람과의 공감은 심리적 산소(psychological oxygen)와 같은 것이며,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문제가 생기는데 이를 현대인의 불행이라고 하였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 정서적 관여(친근성)가 있어야 하며, 건전한 Self는 자기 자신에 대해 심리적 안정을 누리는 사람, 통합감을 누리는 사람, 부모로부터 자신에 대한 공감을 받은 사람이라고 하였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Hans Selye의 이론, 일반적응증후군, 스트레스 3단계 (107) | 2023.08.07 |
---|---|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반응행동과 조작행동,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대리역량, 자기조절, 자기효능 (106) | 2023.08.06 |
신프로이드 학파, 아들러, 출생순위 및 형제 간 경쟁이론 (109) | 2023.08.04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27) | 2023.08.02 |
방어기제, 억압, 합리화, 투사, 부정, 반동형성, 전위, 승화, 퇴행, 무의식 (94) | 2023.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