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1.개요
과거에는 환경에서 오는 어려움. 정제적 곤란 동을 의미하였으나, 18세기에 이르러 물리학과 공학에서 스트레스라는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공학이나 물리학에서 사용하던 개념을 Hans Selye가 의학적인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현대적 의미에서 스트레스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Cannon(1914)이다.
오늘날 스트레스는 위협을 주는 상황과 이러한 상황에서 경험되는 압력(행동에 박차를 가하고, 격렬하게 하거나 또는 변경시켜야만 한다거나, 더 높은 수행표준을 따라야만 한다는 개인의 느낌), 좌절(개인의 목표달성이 막힐 때 일어나는 정서적인 반응), 갈등(양립할 수 없는 요구, 기회, 욕구 혹은 목표에 의해 유발되는 긴장) 및 불안에 대한 정서적, 신체적 반응을 말한다.
즉 개인과 환경간의 특별한 관계로서 자신의 자원에 부담이 되거나 자신의 안녕을 위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관계성(Lazarus & Folkman, 1984) 내지는 자신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고, 그러한 상태를 해결하기 어려울 때 경험하는 상태(전경구, 김교헌, 1996)로 정의된다.
2. Hans Selye의 이론
Selye(1974)는 스트레스 원천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지 적하였으며, 스트레스원(stressor)은 유기체의 적응수준에 따라 불편한 스트레스(distress)와 기분 좋은 스트레스(eustress)로 나타날 수 있다.
당면하게 되는 외부자극이나 상황이 유쾌하게 될지 아니면 불쾌하게 될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적응과 순응에 대한 요구의 강도가 중요하다
1) 일반적응증후군
(1)개념
-일반(general)
이러한 반응이 신체 전신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자극(추위, 더위, 전기쇼크 등)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적응(adaptation)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반응은 우리의 방어체계 를 자극하고 신체를 단련시킴으로서 생명을 유지시키는 적응적인 반응이다.
-증후군(syndrome)
각 반응이 연관되어 있고, 심지어 한 가지 이상의 반응이 늘 의 존적으로 경험된다는 의미이다.
(2)스트레스 3단계
-경보반응단계(alarm reaction stage)
충격기(shock stage)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유기체가 일시적으로 위축되는 시기이고, 역충격기(counter-shock stage)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유기체가 갖는 적응에너지를 사용하여
반격이 시도되는 기간이다. 단기적 스트레스의 경우에서처럼 방어체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면 신체는 정상 수준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대부분의 단기적 스트레스는 첫 단계에서 종료된다.
-저항단계(resistance stage)
경보반응단계에서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가 실패한 경우 이 단계로 넘어온다. 유기체가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나름대로 적절한 대처를 하게 됨에 따라 신체적으로 특별한 반응상태가 나타나지 않으며 겉으로 보기에는 유기체가 스트레스 상황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탈진단계(exhaustion stage)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이다. 유기체가 소유하고 있는 적응에너지는 무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스트레스 상황은 종국에는 에너지 탈진을 초래하며, 에너지 탈진의 마지막 단계인 질병과 사망은 이 단계에서 대체로 나타난다.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경보반응단계에서 스트레스를 이겨내지 못하고 1~2시간 이내에 사망(ex. 쇼크사)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3)비판점 :
Goldstein(1990)은 모든 스트레스반응이 스트레스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하여 일반적 증후군의 모형을 비판한 바 있다. 즉 우리가 투쟁의 경우와 도피의 경우에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정서는 확연히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닝-클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133) | 2023.09.03 |
---|---|
심리적 장애, 불안 장애, 범불안 장애, 공황장애, 공포장애, 강박장애 (94) | 2023.08.08 |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반응행동과 조작행동,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대리역량, 자기조절, 자기효능 (106) | 2023.08.06 |
대상관계이론, 하인츠 코헛, 인간적 공감, 신뢰에 따른 경험, 어머니와의 관계 (17) | 2023.08.05 |
신프로이드 학파, 아들러, 출생순위 및 형제 간 경쟁이론 (109) | 2023.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