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영향, 태도의 변화, 태도의 요소, 태도의 형성, 균형이론, 인지-정서 일관성, 행동의도모형, 인지부조화이론, 노력의 정당화, 강요된 응종, 의사결정 후의 부조화

by 2보리 2023. 7. 6.
반응형

사회영향

사회영향이란 개인이 타인 또는 집단으로부터 유형 또는 무형의 압력을 받고 이에 굴복하여 추종하거나 이에 영향을 받아 혼자 있을 때와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1.태도의 변화

1)태도(Attitude)

사람들이 대상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마음의 자세와 양태를 말하며, 태도 대상과 상황에 관련된 소지자의 반응에 직접적이거나 역동적인 영향력을 주는 심적이거나 생리적인 준 비상태로 경험을 통해 조직화된 것이다.

 

2)태도의 요소

인지적 요소

태도대상에 대하여 소지자가 갖는 긍정적부정적 혹은 중성적인 상념과 복잡한 지식을 말하며, 수시로 변하고 보고 듣는 것에 의해 인지내용이 망각되기도 하는 특성을 말한다.

 

감정적 요소

대상에 대한 호(X), 불호(15X5) 또는 찬성, 반대의 단순한 평가이다. 단순한 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며 정서평가는 인지평가보다도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행동적 요소

대상에 대한 평가는 감정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유발하며, 행동경 향성(behavioral tendency)/행동준비성(behavioral readiness)이 나타나는 데, 이는 긍정적인 감정평가를 한 대상에게는 접근하고 부정적인 감정평가를 한 대상은 회피 또는 배척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 태도이다. 흔히 태 도가 행동을 결정하는 것으로 여기나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 이며 태도는 그중 하나일 뿐이다. 오히려 행동이 태도를 결정짓는 경우도 많다.

 

3)태도의 형성

특정대상에 대한 태도는 생득적인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접촉경험에 따른 학습과정에 의 해 형성되는 것으로 봐야 하며, 태도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인은 연합 강화 . 모방 등의 학습기제에 따라 학습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관성 원리에 의한 태도형성을 설명 하는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

 

균형이론

사람들이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조화로운 균형을 유지하려 하며, 태 도 불균형상태가 발생하면 균형적인 변화를 도모한다.

 

인지- 정서 일관성

사람들은 정서적 평가와 인지적 평가 요소 간에 일관성을 유지하려

한다.

 

행동의도모형(model of behavior intention)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태도 와 실제 행동 간의 일치도가 낮은 것은 태도와 행동의 개념정의가 평화 하지 않거나 측정이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이지 태도와 해동사이의 연관 성이 실제로 낮기 때문은 아니라는 주장(PishbeinAjxen, 1975)이다.

이들은 대상에 대한 태도(Ao : attitude toward the object)를 측정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행동에 대한 태도(AB :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를 측정해서 태도와 행동의 연관성을 봐야한다고 주장한다. 행동에 대한 태도(AB)와 자기에게 중요한 주변인들이 이런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통합되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개인의 실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인지부조화이론(Festinger, 1957)

인지요소 간의 관계를 볼 때 서로 다른 인지로 관계가 없거나 하나의 인지가 다른 인지들과 논리적으로 상 호 일치하는 조화관계에서는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갈등이 없다. 그러나 태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가 있을 경우, 부조화 감소동기에 의해 조화 혹은 균형을 회복하려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가져온다

 

노력의 정당화

무언가 열심히 했는데, 얻은 것이 적다면 큰 부조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런 노력이 정당화될 수 없을 경우 부조화를 감소 시키기 위해 노력을 들여 달성코자 했던 목표를 더욱 긍정적 노력의 으로 여기게 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남자들은 국방의 의무로 군복무를 하는데 가장 훈련이 힘들고 군기가 엄한 곳이 해병대라고 평이 나 있다. 이들은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이라는 표어처럼 긍지나 자부심이 타 군출신에 비해 높고 응집력도 높다.

 

강요된 응종

FestingerCarlsnith (1959) 실험에서 밝혀진 부조화에 의한 태도변화로 본인이 지닌 태도와 모순되는 행동을 취했지만 이런 행동을 정당화시킬 수 없는 경우, 태도-행동 불일치를 벗어나기 위해 자신이 했던 행동을 정당화하게 된다. 강요된 응종이 나타나기 위한 조건(Collins & Hoyt, 1972 ; Cooper & Facio, 1984)은 태도와 상반된 행위를 취한 책임을 스스로가 느껴야 하고 그 행위가 스스로나 남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가져와야 하며, 자신의 행동을 남들이 알아야 한다.

 

의사결정 후의 부조화

스스로의 선택을 바꿀 수 없다면 그 결정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자신이 취한 선택을 더욱 좋게 보고 취하지 않은 것을 평가 절하하는 심리가 작용하며, 부조화의 크기는 선택한 것과 선택하지 않은 것과의 차이가 적어서 일장일단이 있는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청바지를 살까 면바지를 살까 망설이다가, 청바지를 선택하고 돈을 지불한 뒤에는 자신이 청바지를 잘 샀다고 만족하는 경우이다.

alt 사회영향, 태도의 변화, 태도의 요소, 태도의 형성, 균형이론, 인지-정서 일관성, 행동의도모형, 인지부조화이론, 노력의 정당화, 강요된 응종, 의사결정 후의 부조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