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서의 행동
1.집단에서의 정체감
개인이 어떤 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정의하는 사회적 정체감(social identity)를 갖게 되고,
혼자 있을 때는 그렇지 않던 사람도 시위군중에 휘말려 권력을 행사하는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집단 내에서 구성원이 개인적 정체감과 책임감을 상실하여
집단행위에 민감해지는 현상을 몰개인화(deindividuation)라고 한다.
2. 집단에서의 수행
1)사회적 촉진과 사회적 태만
트리플렛(Triplett, 1898)은 인간은 혼자일 때보다 타인이 존재할 때 개인의 수행이
더 좋아지는 현상인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는데,
이러한 사회적 촉진은 개인별 수행이 확인 가능한 상황에 나타난다.
자이언스(Zajonc, 1965)에 의하면, 쉬운 과제에서는 성공이 우세반응이고
어려운 과제에서는 실패가 우세반응이 된다. 즉 과제의 난이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쉬운 과제에서는 성공이 우세반응으로 사회적 촉진이 일어나고,
어려운 과제에서는 실패가 우세반응으므로 사회적 억제(social inhibition)가 일어난다.
반면에 개인별 수행이 확인 불가능한 과제나 상황에서는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이 나타나는데, 이는 과제의 난이도와는 상관없이 일어난다.
즉 혼자 일할 때보다 집단으로 일할 때 노력을 절감해서
개인당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3. 집단의사결정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의사결정을 할 때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집단결정이 개인결정보다 더 극단적이다.
모스코비치와 자발로니 (Moscovici & Zavallon)는 실험을 통해
집단토의와 같은 집단 상호작용 이후 구성원의 태도나 의견의 평균은 상호작용 이전의
평균과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화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이 현상을 집단극화(group polerization)라고 한다.
집단극화의 원인으로는 집단의 전 반적 성향과 일치하는 주장에 설득되어 발생하였다는 시각,
사회비교를 통해 집단의 평균보다 약간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의 입장을 변화시키는
자기과시의 산물로 보는 시각, 그리고 사회적 정체감을 결정적 조건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스토너(Stoner, 1961)는 집단적으로 결정을 하게 되면 개인적으로 하는 경우보다
더 모험적인 방안을 택하게 되는 모험이행(risky shift)을 주장했는데,
그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집단결정 이 개인의사결정보다
오히려 더 보수적인 방안을 택한다는 결과도 나왔다.
따라서 이 현상들은 극단이행(extremity shift) 현상으로 명명되었다.
즉, 집단의사결정은 개인의사결정보다 더 모험적이고 아니면
더 보수적인 극단적 방안의 선택으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한편 어떤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전문가들로서 구성된 최선의 집단이
최악의 방안을 내놓는 경우가 있는데,
즉 응집성이 높은 집단에서 초래될 수 있는 비합리적이고 비생산적인 결정이나 판단을
집단사고(group think)라 한다.
이러한 집단사고가 발생해도 자신들의 집단은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완벽한 집단이라는 신념을 견지하고 상반된 증거가 제시되어도 무시해버리는 등의
집단합리화(collective rationalization)를 하게 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발달, 신생아의 주요반사, 모로, 바빈스키, 형태재인, 격차원인, 높이지각에서의 운동경험의 역할 (24) | 2023.07.15 |
---|---|
욕구위계이론, Maslow의 욕구이론, Alderfer의 욕구이론, wiliam Glasser의 욕구이론 (121) | 2023.07.13 |
리더십의 기능과 특성, 리더십의 효율성, 리더십의 유형, 카리스마 (101) | 2023.07.11 |
순종, 순종을 증가시키는 방법,한 발 적시기 기법, 문전박대 기법, 낮은 공 기법, 덤 끼워주기 기법 (105) | 2023.07.09 |
동조, 동조의 심리적 근거, 집단 크기와 동조, 닻내리기 효과, 동조 실험, 세리프 실험, 애쉬의 실험, 동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동조에의 동조와 소수영향 (15) | 2023.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