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86

대상관계이론, 하인츠 코헛, 인간적 공감, 신뢰에 따른 경험, 어머니와의 관계 ◆대상관계이론 개인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중요한 건 타인이다. '자기'는 '관계적 자기'이다. 따라서 인간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Freud는 자기 내면의 욕구 갈등 방식을 중요시한 반면에, 대상관계이론은 자기가 어떤 관계를 이루는지에 초점을 둔다. 양자는 초기의 인간 경험이 중요하다고 본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프로이드는 본능적 욕구를 강조하고, 대상관계이론은 신뢰에 따른 경험을 중요시 여긴다(ex. 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대상인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세상과의 관계를 습득한다고 함)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Good vs Bad(좋음 대 나쁨) 양극 차원의 분리로 양극을 형성(bipolar representations)하고, 이 구분이 처음에는 모호한데, 어머니와 부대끼며 좋고 나.. 2023. 8. 5.
신프로이드 학파, 아들러, 출생순위 및 형제 간 경쟁이론 ◆신프로이드 학파의 견해 1.아들러(Adler) 사회적 충동 • 무의식적 사고를 중요시하였으며, 심리적 열등감 • 고통스런 감정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상(상상된 혹은 실제의 개인적 허약을 극복하려는 개인적 노력) 추구로 관심을 옮긴 것이 특징이다. 인간이 심리적 열등감 • 고통스런 감정을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노력이 생활양식(style of life-각 개인의 특정한 의미와 신념의 발달)의 일부를 형성하고, 특징적인 성격기능의 한 면을 이룬다. 즉 생물학적 측면보다 사회적 측면을 더 강조했다. 우월에 대한 추구(stnung of superiority)에 대하여 초기에는 권력에 대한 의지(will to power)를 강조하였고, 이 추구가 신경증적이 되면 권력에 대한 바람 • 타인에 대한 통제로 표현되며, 건.. 2023. 8. 4.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1.구강기(Oral stage) • 이 시기의 유아는 그의 생존을 전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하며 본능적인 만족을 얻는 유일한 수단이다. 구강은 생물학적인 충동과 동시에 유쾌한 감각을 해소시키는 신체의 일부이며, 유아는 젖을 빨음으로써 영양을 공급받고, 배고픔의 충동을 만족시키며 동시에 입을 움직여 기쁨을 얻는다. 이런 이유로 구강부(입술, 혀와 기타 연관된 구조) 는 유아의 활동과 관심의 초점이 된다. 구강 의존시기의 유아의 중심과업은 다른 사람과 관련하여 의존, 신뢰, 신용, 독립심 등의 일 반적인 태도를 확립하게 된다. 아기의 삶은 입으로 하는 활동이 중 심이 되는 시기로서, 먹기와 무관하게 즐거움을 위해서도 하므로 '성적' 즐거움이라고 한다. 지나친 만족이나 박탈은 이 .. 2023. 8. 2.
방어기제, 억압, 합리화, 투사, 부정, 반동형성, 전위, 승화, 퇴행, 무의식 ◆방어기제의 구분1)억압(repression)• 위험한 요구들을 의식에서 밀어내는 기제이며,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제로서 더 정교한 방어기제의 수단이 될 뿐 아니라, 불안을 가장 직접적으로 회피하므로 일차적인 방어기제로 본다 • 선택적 망각으로 묘사되는 억압은 무의식적인 성적 • 공격적 충동의 표현을 완전히 차단하여 충동이 불쾌한 것으로 남아있는 한 이를 의식하지 못하게 한다. • 외부표출을 시도하는 억압된 충동은 꿈 • 농담 • 말의 실수나 '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이라고 불리는 증거들을 통해 일시적인 만족을 얻게 될 수도 있다. • 억압은 모든 신경증적 행동 • 정신신체장애 • 성 심리적 장애의 근본 원인이 된다. 억압의 결과로 각 개인은 불안을 유발하는 갈등을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며, 정서적으로 충격.. 2023.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