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86

피아제의 인지발달, 도식,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Piaget의 인지발달 1. 개요 어른과 아이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듯이 인지발달이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세상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말한다. 어른과 아이는 지식의 양적 측면에서의 차이가 아니라 지식을 얻는 방식에 있어서 질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인지발달은 양적 차이가 아니라 바로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2. 인지발달의 이해 Jean Piaget(1896~1980)는 모든 행동을 환경에 대한 인간의 적응으로 보고, 모든 아동이 거쳐야만 하는 일련의 단계들로 이루어진 인지발달의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조직과 적응의 과정을 통해 새롭게 생기는 인지구조는 기존의 구조와 질적으로 상이하다는 가정아래 인지 구조의 질적인 변화를 크게 묶어 인지발달 단계를 제안하였다. 그는 행동과 지식과의.. 2023. 7. 15.
지각발달, 신생아의 주요반사, 모로, 바빈스키, 형태재인, 격차원인, 높이지각에서의 운동경험의 역할 ◆지각발달(perceptual development) 신생아는 단순한 반사운동만을 할 수 있다. 생후 약 한달이 되면 신생아는 어깨를 들기 시작한다. 생후 4~6개월 경에 기기 시작하며, 생후 9개월에는 혼자서 앉을 수 있다. 10개월 경에는 바로 설 수 있고, 13개월 경에는 걷기 시작한다. 신생아도 아직 충분하지는 않지만 자극에 감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그 중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이 시각이다. 1. 유아들의 자극에 대한 감각 반응(신생아의 주요반사) 1)찾기(rooting) 신생아를 들어올렸을 때 젖꼭지를 찾으려고 머리를 돌리는 반사로, 유아의 뺨에 뭔가 닿으면 그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뭔가 빨 것을 찾는 행동을 보인다. 2)빨기(sucking) 가용한 어떤 것이나 빨려하는 반사로, 유아의 입주위에.. 2023. 7. 15.
욕구위계이론, Maslow의 욕구이론, Alderfer의 욕구이론, wiliam Glasser의 욕구이론 ◆욕구위계 이론 : 하위단계부터 먼저 지속적으로 욕구가 충족이 되어야 한다. 전 단계 가 충족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하위욕구에서 상위 욕구로 올라가면서 자신의 욕구를 체계적으로 충족시켜 나간다. 1. Maslow의 욕구이론 : 인간은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동기화 되어 있는 동물이고, 인간에게 공통으로 존재하는 낮은 수준의 욕구가 일단 충족되면, 한 번에 하나의 상의 계층식으로 상승하여 바로 다음 수준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동기화된다는 것을 전제한다 1)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인간이 태어나서 동기의 최초 시발점이 되는 욕구로, 모든 욕구 중 가장 강력한 욕구이다. 생리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사람은 다른 어떤 욕구보다 이 욕구가 행동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며.. 2023. 7. 13.
집단에서의 행동,집단에서의 정체감, 집단에서의 수행, 사회적 촉진, 사회적 태만, 집단의사결정, 집단사고, 집단합리화, 모험이행, 극단이행 ◆집단에서의 행동 1.집단에서의 정체감 개인이 어떤 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정의하는 사회적 정체감(social identity)를 갖게 되고, 혼자 있을 때는 그렇지 않던 사람도 시위군중에 휘말려 권력을 행사하는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집단 내에서 구성원이 개인적 정체감과 책임감을 상실하여 집단행위에 민감해지는 현상을 몰개인화(deindividuation)라고 한다. 2. 집단에서의 수행 1)사회적 촉진과 사회적 태만 트리플렛(Triplett, 1898)은 인간은 혼자일 때보다 타인이 존재할 때 개인의 수행이 더 좋아지는 현상인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는데, 이러한 사회적 촉진은 개인별 수행이 확인 가능한 상황에 나타난다. 자이.. 2023. 7. 12.